“하루 아침에 230조원 증발했다”...트럼프發 관세 쇼크, 코인시장 덮쳐 [매일코인]
최근도 기자(recentdo@mk.co.kr)
입력 : 2025.02.02 13:15:30 I 수정 : 2025.02.02 13:36:16
입력 : 2025.02.02 13:15:30 I 수정 : 2025.02.02 13:36:16
미국발 관세 쇼크에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하루만에 1600억달러 가량 증발했다.
가상자산시장이 최근 크게 호재가 없는 상황에서 글로벌 경제에 악재가 생기면서 투자 심리가 무너진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와 맥시코 등에 관세를 부과키로 최종 결정했다.
2일 가상자산 통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가상자산시장의 시가총액은 이날 오후 1시 기준 3조2900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4시간 전 기록한 3조4500억달러보다 1600억달러 가량 줄어든 수치다.
가상자산 시장은 지난 1일 트럼프 대통령이 4일부로 캐나다 및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키로 최종적으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급락했다.
비트코인은 이날 오후 1시 기준으로 전날대비 3.00% 가량 하락하며 9만9199달러를 기록했다.
이더리움은 5.88%, 솔라나는 9.46% 하락했다.
특히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중국이 ‘맞불’을 예고하면서 낙폭이 커졌다.
비트코인은 지난달 27일 이후 처음으로 10만달러선 아래로 하락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일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 백악관은 펜타닐 등 문제를 이유로 중국의 미국 수출 제품에 10% 관세를 추가 부과한다고 선포했다”며 “중국은 이에 강한 불만을 표하고 단호히 반대한다”는 내용의 담화문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펜타닐 원료를 중국이 공급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대변인은 “미국의 일방적 추가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자기 문제 해결에 이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중미의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가상자산 시장은 지난 20일 트럼프 취임식 당시 10만9588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가를 갱신한 뒤 6.5% 가량 하락한 상황이다.
시장에 특별한 호재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 등이 미국 증시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약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는 국내와 해외 시장간 가상자산 가격 차이를 뜻하는 김치프리미엄이 7%까지 급등했다.
이에 스테이블코인인 ‘테더’가 전날 개당 1566원까지 상승하며 지난해 6월 업비트 원화 상장 이후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달러값 상승과 김치프리미엄의 영향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시장은 올해들어 시장 호재없이 미국 시장에 이끌려가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올해들어 상승률 높은 코인도 모두 미국에서 만들어진 소위 ‘미국 코인’뿐이다.
지난달 시가총액 50위 이내 코인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건 트럼프 밈코인인 ‘오피셜 트럼프’로 283.81% 상승했다.
그 뒤를 46.65% 오른 리플이 이었고, 만트라가 38.75% 상승했다.
상위 10개의 종목 중 오피셜트럼프, 리플, 체인링크, 스텔라, 솔라나, 라이트코인, 알고랜드 등 7개 종목이 미국 코인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시장이 최근 크게 호재가 없는 상황에서 글로벌 경제에 악재가 생기면서 투자 심리가 무너진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와 맥시코 등에 관세를 부과키로 최종 결정했다.
2일 가상자산 통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가상자산시장의 시가총액은 이날 오후 1시 기준 3조2900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4시간 전 기록한 3조4500억달러보다 1600억달러 가량 줄어든 수치다.
가상자산 시장은 지난 1일 트럼프 대통령이 4일부로 캐나다 및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키로 최종적으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급락했다.
비트코인은 이날 오후 1시 기준으로 전날대비 3.00% 가량 하락하며 9만9199달러를 기록했다.
이더리움은 5.88%, 솔라나는 9.46% 하락했다.
특히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중국이 ‘맞불’을 예고하면서 낙폭이 커졌다.
비트코인은 지난달 27일 이후 처음으로 10만달러선 아래로 하락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일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 백악관은 펜타닐 등 문제를 이유로 중국의 미국 수출 제품에 10% 관세를 추가 부과한다고 선포했다”며 “중국은 이에 강한 불만을 표하고 단호히 반대한다”는 내용의 담화문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펜타닐 원료를 중국이 공급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대변인은 “미국의 일방적 추가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자기 문제 해결에 이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중미의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가상자산 시장은 지난 20일 트럼프 취임식 당시 10만9588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가를 갱신한 뒤 6.5% 가량 하락한 상황이다.
시장에 특별한 호재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 등이 미국 증시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약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는 국내와 해외 시장간 가상자산 가격 차이를 뜻하는 김치프리미엄이 7%까지 급등했다.
이에 스테이블코인인 ‘테더’가 전날 개당 1566원까지 상승하며 지난해 6월 업비트 원화 상장 이후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달러값 상승과 김치프리미엄의 영향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시장은 올해들어 시장 호재없이 미국 시장에 이끌려가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올해들어 상승률 높은 코인도 모두 미국에서 만들어진 소위 ‘미국 코인’뿐이다.
지난달 시가총액 50위 이내 코인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건 트럼프 밈코인인 ‘오피셜 트럼프’로 283.81% 상승했다.
그 뒤를 46.65% 오른 리플이 이었고, 만트라가 38.75% 상승했다.
상위 10개의 종목 중 오피셜트럼프, 리플, 체인링크, 스텔라, 솔라나, 라이트코인, 알고랜드 등 7개 종목이 미국 코인으로 나타났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국증권금융, 대규모 인사·조직개편 “부서장 75% 교체”
-
2
“한국 수출 62조원 줄어들 수도”…트럼프 관세전쟁에 한국 ‘타격’
-
3
KGM, 자동차부품 위탁업체에 부실 계약서 발급으로 시정명령
-
4
이번주 구글·아마존 등 美빅테크 실적 주목
-
5
“미중 관세전쟁때 코스피 23% 빠졌는데”…내일 국내 증시 매도폭탄 나오나
-
6
오세훈 "AI 인재 1만명 양성하겠다…3대 강국, 우리도 가능"
-
7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 왕복하는 배터리 전극 개발"
-
8
“내 통장에 비상금이 90초면 ‘뚝딱’”…애매한 대출광고 ‘확’ 바뀐다
-
9
[게시판] SKT, 갤럭시 S25 출시 기념 T데이 혜택 2배 이벤트
-
10
“사과·배 비싸서 못먹고 있는데”…3년 새 가격 70% 떨어진 과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