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5.02.05 17:14:33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이슈요약
애드바이오텍
(179530)
2,450원
(
+29.97%)
음식물처리기 미생물제 대형 고객사 확보 소식에 상한가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는 동사에 대해 미생물제의 경우 국내 대형 가전업체 L사와 대형 렌털업체를 고객사로 확보했다며, 고객사 제품 출시 일정에 따라 동사의 미생물제 납품도 시작될 것으로 전망. 이어 음식물 처리기용 미생물제, 반려동물용 인공눈물 제조업자개발생산(ODM) 등 신사업 매출이 본격화하고 있다며, 올해 예상 매출액은 200억원, 영업이익 10억원으로,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기대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신규 고객사로 확보한 국내 대형 가전업체 L사는 LG전자라고 알려짐.
삼천당제약
(000250)
202,000원
(
+21.69%)
아일리아 시밀러 SCD411 및 경구용 비만·당뇨 치료제 진행 현황 공개 등에 급등
▷동사는 IR자료를 통해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 시밀러 SCD411 및 경구용 비만·당뇨 치료제 진행 현황을 공개했음.
▷글로벌 아일리아 시장은 고용량 제품의 가세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동사는 글로벌 메인 시장인 미국, 유럽, 캐나다, 일본과 계약을 체결했고, 25년에는 나머지 주요 국가들의 계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중에 있다고 언급. 이에 동사의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는 25년부터 캐나다, 한국, 유럽, 일본 시장에서 판매가 시작될 것이며, 26년에는 Global 판매가 될 것이라고 설명. 고용량 바이오시밀러는 28년에 허가 취득 및 1st 시장 진입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중이라고 밝힘.
▷아울러 글로벌 인슐린 및 GLP-1의 당뇨 및 비만치료제 시장은 CAGR 14% 이상의 성장율을 보이며 30년에는 318조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 이에 동사는 경구용 비만 및 당뇨 제품을 글로벌 판매를 위한 계약 체결을 목표로 개발중이라며, 특허 회피(SNAC Free) 세마글루타이드 제네릭의 26년 조기 상업화 및 1,2형 당뇨 환자들이 모두 투여할 수 있는 경구용 인슐린을 판매하고 Global 1st 경구용 GLP-1 개량신약을 개발하여 당뇨 및 비만 시장의 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밝힘.
솔트룩스
(304100)
33,150원
(
+17.14%)
Gen AI Hands-On 행사서 루시아2.5 공개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13일 개최되는 ‘Gen AI Hands-On’ 행사에서 루시아2.5(LUXIA2.5)를 새롭게 선보이고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과 개발자에게 무상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힘.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2.5는 법률, 의료, 제조, 교육 등 각 도메인 특화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벡터 임베딩 모델과 루시아 LLM은 챗GPT 대비 최대 20분의 1 수준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 오픈AI의 GPT뿐만 아니라 딥시크의 AI 모델에도 비견될 만한 경쟁력을 갖췄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피앤에스미캐닉스
(460940)
15,750원
(
+13.31%)
보행재활로봇 '워크봇(Walkbot)' 상용화 및 판매 진행 사실 부각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보행재활로봇 '워크봇(Walkbot)'을 개발해 상용화에 나서 판매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워크봇은 세계 최초 유일의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3-Joint 훈련을 통해 뇌졸중, 척수손상, 파킨슨병에 의한 보행장애, 다발성 근경화증, 소아마비 등의 신경학적 손상이나 근골격계 질환에 의해 보행능력을 상실한 환자들에게 개인별로 최적화된 인간형 걸음동작과 다양한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동사 측은 "전세계적으로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의 재활훈련을 함께 제공하는 보행훈련로봇시스템은 워크봇이 유일하다"며, "족관절 구동 시스템에 의해 로봇 보행훈련시 올바른 땅짚기 훈련이 가능함으로써 지면반발력 효과(자연스러운 중력의 변화와 체중의 무게중심의 이동)를 향상시키고, 저하된 환자의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으로 이루어진 발목운동을 개선하여 인간의 정상보행과 유사한 올바른 보행훈련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한다"고 설명.
▷아울러 동사는 시장의 수요에 발맞 춰 상지재활로봇인 ‘QoL(Quality of Life)’을 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2등급(개인용) QoL의 경우 사용성 평가와 식약처 허가를 2025년 완료하고 해당 제품을 출시할 계획. 3등급 제품에 대해서는 허가임상시험 완료 후 KFDA와 CE, GOST-R FDA 인증을 진행한 뒤에 2026년에 시판할 계획임.
APS
(054620)
5,000원
(
+12.74%)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급등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2-06~2025-08-06, 대신증권(DAISHIN SECURITIES CO.,LTD.)) 공시.
이노룰스
(296640)
6,400원
(
+9.97%)
지난해 실적 호조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7.06억원(전년대비 +52.83%), 영업이익 23.96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30.71억원(전년대비 +8,731.30%). 언론에 따르면, 이번 실적의 주요 요인은 디지털 업무 자동화 수요 확대, 대규모 IT시스템 구축 계약 등 수주 증가에 따른 매출 증가로 전해짐.
▷보통주 1주당 250원(시가배당율 3.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12-31) 공시.
제이엘케이
(322510)
9,180원
(
+9.55%)
하반기 美 시장 매출 발생 기대감 등에 급등
▷한양증권은 동사에 대해 복수의 컨설팅 업체를 활용함으로써 보험수가 획득 시간을 단축하고 성공률을 높여, 올해 하반기 미국 시장에서 의미 있는 매출 발생을 기대한다고 전망. 특히, 미국 시장의 핵심은 보험 등재 여부이기 때문에 FDA 승인이 완료된 다수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다음 스텝인 메디케어 보험수가 획득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 이를 위해 동사는 보험 컨설팅 회사인 Horgan Lovells, McDermott+, MCRA과 협력하여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힘.
▷한편, 의료용 Chat GPT 개발 소식과 함께 의료 AI 산업에 대한 투자 심리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국내 의료 AI 기업들은 본격적인 흑자 전환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고 분석. 특히, 동사는 미국 FDA 승인 절차를 가장 신속하게 진행하며 상업화의 마지막 단계에 도달한 상황이며, 미국과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해 지난해 10월 자본 조달을 완료했고, 이를 바탕으로 2025년에는 미국 85억원, 일본 65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여 약 2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웨이비스
(289930)
7,720원
(
+9.50%)
GaN RF 반도체, 방산, 안티 드론 등 전방 산업 적용 확대 기대감 등에 급등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GaN RF 반도체 칩 제조 전문 업체로 고객사인 방산 무기체계, 안티 드론 업체 향으로 납품하고 있다며, 차세대 반도체 중 GaN RF 반도체는 이미 전방 산업에 적용 및 상용화 중에 있다고 설명. 기존 통신 진공관 제품 대비 고전압, 고출력 지원이 가능하며 고주파에서 동작이 가능하기에 방산용 레이다, 위성통신 등 첨단산업 향 납품 지속 확대가 예상된다고 밝힘.
▷특히 국방 레이다 시스템 내 전력 효율 최적화, 탐지 거리 향상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기에 국방 레이다 향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며, 국내 방산업체들의 레이다 기술 고도화와 선박 레이다 등 다양화가 지속 진행 중으로 향후에도 동사에게 신규수주 기대감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코어라인소프트
(384470)
8,600원
(
+9.14%)
AI 기술 기반 글로벌 원격진단 시장 공략 가속화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세계 1위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원격진단 시장 공략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힘. 동사는 글로벌 기업과 협력해 원격진단 시장에 진출한 후 최근 미국 의료정보보호법(HIPPA), 유럽 개인정보보호규정(GDPR) 등 국제 인증 획득을 마쳤으며, 보유 레퍼런스 및 해외 인증을 바탕으로 AI SW 추가 공급을 통해 실적 성장에 나설 방침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영국 등 선진국들은 의료 인력과 시설 부족 문제로 원격진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국내와 달리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며, "해외에서 AI SW에 대한 도입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 CE 인증 등 글로벌 시장 대부분을 커버하는 AI SW 허가 및 원격진단 분야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시장 공략을 확대할 것"이라고 언급. 이어 "특히 최근 동사의 주력 AI 제품이 성능 벤치마크에서 세계 1위 기업 지멘스의 최상급 진단 솔루션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기 때문에 정부주도 사업과 함께 원격진단 기업향 공급도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매출 기여도가 높은 원격진단 시장 진출 강화를 통해 AI SW 기반 실적 성장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힘.
뷰노
(338220)
26,650원
(
+8.33%)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달성 등에 강세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8.69억원(전년대비 +94.86%), 영업손실 124.26억원(전년대비 적자폭축소), 순손실 129.94억원(전년대비 적자폭축소). 특히, 매출액은 창립 이래 최대 실적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주력 제품인 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VUNO Med-DeepCARS(DeepCARS)가 의정갈등 등 불안정한 환경 속에서도 필수 의료로 자리 잡으며 총 매출을 견인했다"며, "DeepCARS는 현재 국내 18개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해 110여개 병원에 도입돼 약 4만5,000 병상에서 운영 중"이라고 밝힘.
셀바이오휴먼텍
(318160)
3,625원
(
+7.57%)
지난해 실적 호조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84.18억원(전년대비 +4.00%), 영업이익 41.27억원(전년대비 +31.06%), 순이익 43.95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코난테크놀로지
(402030)
28,300원
(
+6.79%)
한림대의료원과 LLM 기반 진료 플랫폼 공동 개발 추진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의료 분야에 특화된 LLM을 선보인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해 12월 한림대학교 의료원과 '생성형 AI기반 입원환자 전주기 기록지 작성 및 의료원 지식상담 플랫폼 구축' 사업을 계약했으며, 이 사업은 한림대학교의료원과 협력해 국내 의료 분야에 특화된 생성형 AI 플랫폼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양 기관은 오는 7월까지 의료 AI 솔루션 공동 개발에 나서게 되는 것으로 전해짐. 입원환자 전주기 의무기록은 접수부터 진료, 검사, 경과 기록, 퇴원까지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 기록 시스템으로, 의료 기록 전 과정에 LLM(대규모 언어 모델) 기술을 적용하는 사례는 국내 최초인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양 기관은 의료 기록 시스템 외에도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활용한 지식 상담 플랫폼을 개발해 의료진과 교직원의 실시간 정보 검색과 상담을 지원할 계획.
뉴로메카
(348340)
34,950원
(
+5.91%)
협동로봇 인디(Indy)에 AI 기반 '모방학습·충돌회피' 기능 탑재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의 대표 협동로봇 모델 인디(Indy)에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모방학습에 이어 AI 기반 충돌회피 기능을 성공적으로 탑재했다고 밝힘. 최근 주목받는 휴머노이드 기술에 적용할 수 있는 자율성과 안전성을 한층 강화하며, 차세대 휴머노이드 발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다양한 연구 과제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AI 기반 충돌회피 및 모방학습 기술은 차세대 휴머노이드의 자율성과 작업 능력을 한층 향상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힘.
HPSP
(403870)
30,850원
(
+5.83%)
예비입찰 흥행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사모펀드(PEF) 운용사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와 동사 매각주관사 UBS는 예비입찰을 실시한 결과 숏리스트(인수 적격후보)에 MBK파트너스 등 약 5곳을 선정한 것으로 알려짐. 크레센도는 잠재 인수후보에 약 8주간 실사기간을 제공하며 4월께 본입찰을 계획 중이라고 전해짐.
▷한편, 이번 매각 대상은 크레센도가 소유한 동사 경영권 지분 40.9%이며, 시가를 감안한 지분가치는 9,800억원대라고 알려짐. 경영권 프리미엄과 원매자 간 인수 경쟁이 펼쳐질 경우 매각가는 1조원 중후반대로 에상되고 있음.
캔버스엔
(210120)
3,175원
(
+5.83%)
47.85억원 규모 한일오닉스 주식 신규 양수 결정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사업다각화를 위한 타법인 주식 인수 목적으로 주식회사 한일오닉스 주식 29,000주를 47.85억원에 신규로 양수하기로 결정(양수후지분율:29.00%, 취득예정일:2025-06-30) 공시.
앱코
(129890)
998원
(
+5.16%)
지난해 호실적에 상승
▷24년 개별기준 매출액 933.68억원(전년대비 -5.63%), 영업이익 48.19억원(전년대비 +123.63%), 순이익 47.02억원(전년대비 +160.03%).
우리산업
(215360)
10,130원
(
+5.08%)
테슬라 로보택시 등 새 모델에 부품 공급 관련 입찰 준비 완료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테슬라의 전 차종 모든 모델 공급에 이어 새 모델에도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입찰 준비를 마쳤다고 전해짐. 현재 테슬라 모델3와 모델S, 모델Y, 모델X, 사이버트럭 등 모든 차종에 HVAC 액추에이터를 공급 중이며, 새 모델이 개발되면 1차 협력사를 통해 입찰할 준비가 갖춰진 상태라고 전해짐.
▷이어 테슬라가 내년부터 본격 양산하겠다고 선언한 로보택시에도 공급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올해부터 미국 조지아주 공장 본격 가동으로 관세 장벽을 넘을 시스템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동사 최대주주인 우리산업홀딩스도 상승세를 기록.
라메디텍
(462510)
7,910원
(
+5.05%)
'케어빔' 日 제조·판매 인허가 획득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피부질환 치료용 엑시머 광조사기 ‘케어빔’(CAREVEAM)’에 대해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로부터 현지시장에 대한 제조 및 판매 인증서를 획득했다고 밝힘. 케어빔은 백반이나 건선 등 자가면역이상질환 및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308nm UVB 파장 기반 피부질환 치료 의료기기로 성능 및 가격도 경쟁 제품보다 우위에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일본 내 인허가 완료를 시작으로 제품의 판매가 본격화되면 외형 성장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라며 “이미 일본 내 1,000개 이상의 병원에 대한 유통 네크워크가 있는 현지 사업 파트너(GENZE MEDICAL LIMITED)와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동국제약
(086450)
15,800원
(
+5.05%)
올해 최대 실적 전망 등에 상승
▷LS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 특히, 2025년 OP Margin 개선이 본격화되며 영업이익은 +15~20% yoy 고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헬스케어 부문의 화장품 사업에서 수익성이 높은 직영몰·오프라인의 비중이 확대되고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홈쇼핑 비중이 감소하며 판매수수료가 감소할 것이라며, 광고선전비 비중 감소 등 마케팅 비용 효율적 집행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
▷아울러 올해 동사의 최대 실적 전망에도 불구하고 최근 주가 낙폭과대로 Valuation 메리트가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 동사의 P/E Valuation은 과거 10년 평균 14.9배(Band 10.4배 ~ 22.5배, 동기간 EPS growth CAGR 11.7%) 대비 2025년 P/E 9.6배 수준으로 역사적 저점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3,000원[유지]
휴림로봇
(090710)
1,773원
(
+4.60%)
中 오마크와 MOU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율이동로봇(AMR)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파트너사인 이큐셀과 함께 중국 오마크사와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은 스마트 팩토리 구현에 AMR 기술을 활용해 물류·생산 공정의 효율성 증대하는 사업을 확대할 목적으로 진행됐으며, 이번 협약에 따라 오마크는 AMR 제품의 공급과 품질관 리, 기술 지원을 담당하고, 동사는 오마크 제품에 대한 기술적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 고객 요구에 맞춘 맞춤형 개발을 담당할 예정.
▷이와 관련, 김봉관 대표이사는 “오마크, 이큐셀과의 협력은 단순한 물품 공급을 넘어 고객 맞춤형 AMR 솔루션 개발을 위한 중요한 시작점”이라며 “스마트 제조 및 물류 공정의 혁신을 통해 원가 절감과 생산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힘.
현대ADM
(187660)
2,500원
(
+4.60%)
암줄기세포 타겟 항암제 'CSC-X' 반려견 임상3상 착수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반려견 대상 니클로사마이드 기반 암줄기세포 타겟 항암제 'CSC-X'의 임상 3상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힘. CSC-X는 암의 재발과 전이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항암제 내성을 방지하는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CSC-X의 임상 3상은 동물 임상시험 전문기관 주식회사 컬프와 공동으로 진행될 예정임.
▷이와 관련, 김택성 동사 대표는 "CSC-X는 암줄기세포를 타겟으로 해 항암제 내성과 전이를 차단하는 세계 최초의 혁신 신약"이라며, "폴리탁셀 및 기존 항암제와의 병용 요법을 통해 고통 없는 암 치료는 물론, 암 완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것"이라고 밝힘.
엔젠바이오
(354200)
1,734원
(
+4.33%)
두바이서 AI 기반 NGS 정밀진단 솔루션 출품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리는 'MEDLAB Middle East 2025(MEDLAB)'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정밀진단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밝힘. 이 행사는 전 세계 임상 진단 및 의료 실험실 관련 기업과 전문가들이 모이는 글로벌 전시회로, 동사는 UAE를 포함한 중동 지역의 주요 관계자들과도 만남을 가질 예정. 특히, UAE 정부가 NGS 검사를 기반으로 국가 차원의 유전체 분석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만큼, 이를 기반으로 협력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논의할 계획.
카페24
(042000)
56,200원
(
+3.69%)
유튜브쇼핑 기대감 유효 분석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유튜브쇼핑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언급. 인앱결제가 구현되지는 않았지만, 셀러/크리에이터가 유튜브쇼핑을 쓰고 싶게 만드는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고 설명. 동사는 셀러(광고주)와 크리에이터(광고 채널)가 서로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플랫폼을 오픈했으며 크리에이터는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금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수취, 셀러는 수백만 유튜브 구독자들에게 상품을 노출할 수 있게 됐다고 언급.
▷아울러 4Q24 영업이익은 90억원(전년대비 +127%)으로 컨센서스 89억원에 부합할 것이라고 언급. 이커머스 시장(+1.4%)은 소비경기 둔화로 부진했으나 동사는 거래액 성장 추세가 견조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설명.
엑셀세라퓨틱스
(373110)
4,360원
(
+3.44%)
세계 최초 무혈청 화학조성(CD) 배양 배지 개발 부각 및 관련 제품 美 FDA 추진 진행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ell & Gene therapy) 시장이 본격적인 도래하고 있는 가운데, 동사가 세계 최초로 무혈청 화학조성(CD) 배양 배지 개발로 시장 선점에 나설 것으로 전해짐.
▷글로벌 차세대 배지 개발을 선도하는 동사가 세계 최초 화학조성배지 개발로 시장 선점에 나서면서 관련 제품들을 미국 FDA 승인 추진중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음. 아울러 현재 'J사'와 '소 근육 줄기세포용 무혈청 배지 및 근육세포분화 배지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가운데, 회사측은 "CGT는 성장기 진입 산업으로 생산용 배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며, "향후 후발 주자의 기술적 진입장벽은 더욱 높아지는 시장으로 우리는 다양한 고객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강력한 거래처의 락인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
스마트레이더시스템
(424960)
12,510원
(
+3.39%)
4.30억원 규모 해외 쓰레기수거 목적 특수차량용 레이다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The Heil Co. dba Parts Central과 4.3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57%) 규모 공급계약(해외 쓰레기수거 목적 특수차량용 레이다) 체결(계약기간:2025-01-28~2025-06-20) 공시.
제이브이엠
(054950)
21,150원
(
+3.17%)
국내 실적 회복 및 해외 시장 성장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 실적 회복과 해외 시장 성장을 기반으로 다시 성장 기조로 들어설 것으로 전망. 특히, 국내 시장에서 미드 싱글 이상의 실적 회복세만 나타나면 수출 성장세가 꾸준히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10% 대의 성장은 무난히 달성 할 수 있는 것이 동사의 구조이며, 중국 지역의 의약분업 시범사업에 대한 수혜, 북미지역 매출이 바이알 신규 제품을 통해 패키지 판매까지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성장세가 탄력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
▷이에 2025년 실적은 매출액 1,762억원(YoY +11.3%), 영업이익 370억원(YoY +21.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태웅
(044490)
12,220원
(
+3.12%)
유럽·아시아 지역향 해상풍력 프로젝트 추가 수주 기대감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유럽향 해상풍력 수주 가시성이 높다고 밝힘. 유럽은 현재 터빈 OEM들의 유럽 지역 해상풍력 수주 증가, 공급망 안정화, LCOE(균등화 발전 비용) 안정화가 동시에 이뤄지는 중이라고 분석. 동사의 지난해 4분기 해상풍력 신규수주 금액은 2024년 연중 가장 큰데 해당 수주 분은 전량 유럽 지역이라며, 2025년 상반기에도 유럽, 아시아 지역향 해상풍력 프로젝트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미국의 경우 사업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현재 건설 중인 프로젝트 1건에 대한 수주가 가능하다고 언급.
▷한편, 동사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885억원(-15.8% y-y) 영업이익 50억원(-54.1% y-y, 영업이익률 5.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철 스크랩 가격(-20.0% y-y) 하락은 아쉬우나, 영업일수 증가와 해상풍력 플랜지 비중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전망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원 -> 17,000원[상향]
삼영이엔씨
(065570)
1,137원
(
-12.94%)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번복(전환사채권 발행결정 철회)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애니젠
(196300)
7,190원
(
-29.99%)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사유 발생에 하한가
▷전일 장 마감 후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지정 사유 발생 공시. 이와 관련, 2024 사업연도 외부감사 결과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법인세비용차감전손실이 확인될 경우 상장규정 제53조 및 동 시행세칙 제49조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밝힘.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0 10:23
애드바이오텍 1,735 39 +2.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0 10:5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