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美 관세 영향권 수출, 우리나라 GDP의 9.4% 수준"
민선희
입력 : 2025.04.17 14:14:38
입력 : 2025.04.17 14:14:38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규모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약 9.4%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대미 수출 구조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對)미국 수출은 바이든 행정부를 거치면서 큰 폭으로 확대됐다.
대미 직접 수출은 2021년 959억달러에서 2024년 1천278억달러로 연평균 10.0% 증가했다.
특히 5대 수출 품목(자동차, 반도체, 자동차부품, 컴퓨터, 석유제품) 수출액이 같은 기간 433억달러에서 645억달러로 늘면서 대미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연구원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활용해 한국의 대미 우회 수출 규모도 추정한 결과 2020년 기준 약 440억달러 수준으로 추산됐다.

[현대경제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의 핵심인 상호관세가 전 세계 180개국을 대상으로 부과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대미 직접 수출은 물론이고, 제3 경유국을 통한 수출도 모두 관세 정책의 영향권에 들어간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비교 편의를 위해 한국의 대미 수출 규모를 GDP 대비 비중으로 환산해보면, 총수출은 약 6.8%, 우회 수출은 약 2.5%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관세 정책 영향을 받을 수출 규모는 GDP의 약 9.4%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강도가 높고 정책의 변동성 또한 높은 상황이라며 민관의 실효적이고 실질적인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장 변동성 확대와 경제 주체 심리 악화 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s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달러-원, 트럼프 25% 관세 발표에 급등…1,377원 마감
-
2
백악관 "8월1일까지 상호관세 유예…트럼프, 행정명령 서명할것"
-
3
[뉴욕유가] 사우디 원유 수출가 전격 인상에 상승…WTI 1.4%↑
-
4
[전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 보낸 서한
-
5
美전문가 "트럼프 서한, 車 관세 완화는 어렵다는 입장 시사"
-
6
'관세 위협' 트럼프에 맞서는 브릭스…"황제 필요 없다"(종합)
-
7
'엔비디아 투자' 코어위브, 비트코인 채굴 기업 인수
-
8
정부, '트럼프 서한'에 "8월1일까지 관세 유예된 것…협상 박차"
-
9
트럼프, 韓고위급 방미 중 관세서한…한미 '3주 끝판협상'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