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스마트폰 출하 3.8%↑…1위 삼성, 애플과 격차 벌릴 것"
테크인사이츠 "스마트폰 성장세 3년 만에 회복…중국업체 추격에 경쟁 격화"
조성미
입력 : 2024.08.05 11:45:48 I 수정 : 2024.08.05 14:36:51
입력 : 2024.08.05 11:45:48 I 수정 : 2024.08.05 14:36:51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올해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이 2021년 이후 3년 만에 성장세를 회복하고, 점유율 1위인 삼성전자[005930]와 2위인 애플간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5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디지털 아웃룩' 7월호가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의 6월 보고서를 인용한 데 따르면 올해 스마트폰 출하량은 작년에 비해 3.8% 증가한 11억9천500만 대로 예상됐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2021년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4.5% 증가했다가 뒤이은 두 해에 걸쳐 11.8%와 3.9% 감소했던 것에서 회복세로 전환한 것이다.
올해 세계 스마트폰 시장 회복세는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한 견조한 성장, 5G 스마트폰 전환 수요 증가,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기술 혁신에 기인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분기별로는 첫 번째 AI 스마트폰인 갤럭시 S24 시리즈 출시 효과를 본 1분기에 9.7%로 성장세가 가장 컸고 이어 2분기 3.9%, 3분기 1.5%, 4분기 0.7%로 점점 둔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업체별로는 AI 스마트폰 출시로 시장 선점에 성공한 삼성전자가 올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9.0%를 차지하며 선두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올해 삼성전자는 작년 대비 0.2% 증가한 2억2천720만대를 출하할 것으로 예상됐다.
애플은 북미·서유럽 시장 하향 전망에 따라 작년 대비 3.9% 줄어든 2억800만대를 출하하며 점유율이 17.4%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삼성과 애플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차이는 지난해 0.9%포인트에서 올해 1.6%포인트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아웃룩' 7월호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 업체는 신흥 시장을 공략 중인 샤오미 13.4%, 트랜션 8.8%, 비보 7.2% 순으로 시장 점유율을 각각 나타낼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점유율 8위인 화웨이가 자체 제작 반도체를 탑재한 5G 스마트폰으로 시장에 복귀하며 두 자릿수의 가파른 성장세로 상위 업체를 추격하는 등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이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샤오미와 트랜션의 올해 출하량이 각각 9.5%, 10.6% 증가, 비보와 오포는 각각 2.7%, 5.1% 감소로 예상되는 가운데 화웨이 출하량이 65.8% 급증할 것으로 예측된 데 따른 분석이다.
cs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트코인 10만弗 넘자 … 알트코인도 급등
-
2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
3
녹십자엠에스, 보통주 35,000주(1.36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
4
‘올빼미와 함께 외국어 공부’ ··· 듀오링고 한 달 새 62% 폭등
-
5
‘자본관리 부담’ 보험사 신용도 비상···후순위채 가격 급락
-
6
스페코, 스페코윈드파워가변자본주식회사/멕시코 주식 처분 결정
-
7
증시요약(6)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8
옵티시스, 25년1분기 별도 영업이익 15.83억원
-
9
비트코인 10만弗 이후 알트 상승률은? ··· 이더리움, 도지, 리플순
-
10
한국투자증권, 1분기 당기순이익 21% 늘어난 4482억원
05.14 18:1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