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주소 들어간 소비쿠폰 문자? 사기입니다”...금감원 소비자 경보

이용안 기자(lee.yongan@mk.co.kr)

입력 : 2025.07.17 12:00:00
금융당국이 설명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스미싱 사례. 금융당국


“소비쿠폰 지급 URL 클릭 안돼”
금감원, 토스·카카오페이엔 경고


금융당국이 21일부터 신청받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 문자엔 인터넷주소(URL)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스미싱 피해 경보를 울렸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소비쿠폰 신청·지급 관련 심각한 스미싱 피해 발생이 우려된다며 17일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다.

금융당국은 출처가 의심스러운 URL 주소를 클릭했을 때 피싱사이트로 연결되거나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이 설치돼 정보 노출과 금융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소비쿠폰 신청 명목으로 신분증 등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받았을 경우 즉시 진행을 중단하라고도 당부했다. 스미싱 피해가 생기면 신속히 보이스피싱 통합신고 대응센터에 신고 후 지급 정지를 요청하라고도 안내했다.

금융당국은 은행·카드사뿐 아니라 이용 고객이 많은 핀테크사에게도 자사 앱과 연결되는 링크를 넣지 말라고도 경고했다. 앞서 토스는 지난 14일 소비쿠폰 안내톡에 자사 앱으로 넘어가는 ‘자세히 보기’ 링크를 삽입했다가 금감원의 주의로 당일 이를 뺐다. 지난 16일부턴 그 자리에 URL 포함 안내를 조심하라는 문구를 넣었다. 카카오페이 역시 지난 15일 소비쿠폰 안내톡에 자사가 만든 민생지원금 계산기로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했다가 금감원 경고로 제외했다.

토스와 카카오페이가 안내톡에 URL을 직접 넣은 건 아니지만, 자사 앱이나 특정 인터넷 화면으로 이어진 링크를 포함시킨 것 자체로 시민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관계기관에 해당 링크들이 사기가 아닌지 묻는 문의도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소비쿠폰 신청·지급 사칭에 이용된 전화번호를 신속히 이용 중지할 예정”이라며 “은행·카드업권의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모니터링을 강화해 소비자 피해 발생현황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7 18:3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