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입력 : 2023.08.17 17:12:06
제목 :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 이슈요약 |
미래산업 (025560) 6,230원 (+29.93%) |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한가 |
▷전일 장 마감 후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4,795원임. | |
에이프로젠 (007460) 2,810원 (+14.69%) | CA12항체 광범위한 암 종류 치료 美 용도특허 등록에 급등 |
▷동사는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 공시를 통해 유방암 등 고형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항체에 관한 미국 용도특허권을 취득했다고 공시. 이를 통해 계열사인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공장에서 임상시료를 생산할 예정으로, 최대한 빠른 시간에 글로벌 임상시험에 착수하여 신약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삼중음성유방암 치료제로 개발 중인 CA12 인간화항체를 거의 모든 주요 암 종류의 치료제 개발에 적용 가능한 용도특허가 미국 특허청에 의해 등록됐다고 밝힘. 이번 미국 용도특허는 CA12 인간화항체를 동사가 치료제로 개발중인 삼중음성 유방암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유방암은 물론 폐암, 대장암, 위암, 전립선암, 간암, 신장암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암종의 치료제로 개발하는 용도에 대한 특허성을 인정받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동사가 급등세를 기록했으며, 에이프로젠 H&G,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등 에이프로젠 그룹주가 상승. | |
KBG/애경케미칼/현대공업/이녹스/이엔플러스 | 전기차 배터리 게임체인저 실리콘 음극재 기술 확보 경쟁 소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한 번 충전으로 주행거리를 크게 늘리거나 충전시간을 단축할 ‘게임 체인저’로 프리미엄 음극재인 실리콘이 뜨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SK·LG·포스코 등 주요 기업이 ‘실리콘 음극재’를 차세대 음극재 소재로 삼아 시장·기술 선점에 나서고 있으며, 이는 기존 배터리의 음극재 소재로는 주로 흑연이 사용됐는데, 실리콘을 사용하면 배터리 밀도를 쉽게 높이고 충전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알려짐.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포르쉐도 ‘실리콘 음극재’를 도입할 계획인 가운데, “실리콘 음극재 비중이 10%를 넘으면 현재 보통 30분 이상 걸리는 전기차 충전시간을 5분가량으로 줄일 수 있다”며, “전기차 충전시간과 주유시간이 비슷해지는 것으로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실리콘 소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KBG, 고성능 실리콘계 음극용 바인더 개발에 성공한 애경케미칼, 미국 실리콘음극재 개발업체 앰프리우스(Amprius)에 투자한 바 있는 현대공업, 실리콘 음극재 원재료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이녹스에코엠을 자회사로 보유한 이녹스, 실리콘 나노입자 관련 탄소, 실리콘 복합 전극물질의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를 보유한 이엔플러스 등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애경케미칼, KBG, 현대공업, 이녹스, 이엔플러스 | |
SK렌터카 (068400) 12,430원 (+4.28%) | 장기렌탈 수요 확대로 매출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3 영업이익은 307억원(+12.7%yoy, OPM 8.7%)을 기록해 당사 예상치를 7.6% 상회했다고 밝힘. 이는 시장 성장 둔화에도 자동차 렌탈 점유율 상승과 중고차 매각 수익성이 전분기비 개선됨에 기인한다고 밝힘. ▷아울러 비대면/온라인 채널 확대와 전기차 중심의 장기렌탈 수요 확대로 동사의 매출 성장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 -> M.PERFORM[하향], 목표주가 : 9,000원 -> 11,000원[상향] | |
포스코퓨처엠 (003670) 424,500원 (+3.41%) | 美 포드와 양극재 공급 관련 협의중 소식에 상승 |
▷동사는 풍문 또는 보도(포스코케미칼, GM 이어 포드에 수십조 규모 양극재 공급 추진)에 대한 해명(미확정) 재공시를 통해 美 포드社와 POSCO그룹의 최고경영자 회동 이후 양사간 양 극재 공급과 관련하여 협의중이라고 밝힘. | |
HMM (011200) 17,740원 (+3.02%) | 글로벌 선사 중 ESG 최고 등급 획득 소식 속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네덜란드 서스테이널리틱스(Sustainalytics)의 ESG 경영 평가 결과, 리스크 점수 15.4점으로 '로'(Low) 등급을 받아 글로벌 선사중 가장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해 24.8점으로 '미디엄'(Medium) 등급을 받았으나 1년 만에 9.4점이 개선돼 '로' 등급으로 한단계 상승했으며, 이는 머스크(17.4), CMA-CGM(19.3), 에버그린(21.5) 등 경쟁 해운사 중 가장 높은 등급임. ▷한편,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지난 10일 중국 CSSC그룹 산하 황푸웬청조선(Huangpu Wenchong Shipbuilding)과 3만8,000DWT급 다목적운반선(MPC) 4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짐. MPC 4척은 2025년 12월말까지 모두 인도될 예정이며, 같은 모델의 선박 4척 에 대한 옵션계약도 체결돼 동사는 MPC를 최대 8척까지 건조할 수 있음. | |
대한유화 (006650) 112,000원 (-1.06%) | 2분기 손실 예상 상회 및 적자 지속 전망 등에 소폭 하락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 6,268억원(YoY -8.8%, QoQ +19.3%), 영업손실 365억원(YoY 적자지속, QoQ 적자지속)을 기록했다며, 당사 추정치 및 Consensus를 31.8%, 52.7% 하회한 수준으로 적자폭이 예상보다 컸다고 분석. 대다수 제품군의 제품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2분기부터 가동을 시작한 BD설비 가동 및 분기말 BD 강세 영향으로 매출액은 전기비 19.3% 증가하였으나,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폭 반등했던 4월 시황이 5월 다시 조정되었고, 6월 약보합세를 지속하며 주요 제품 마진이 저조했다고 설명. ▷아울러 주요 제품인 PE, PP, MEG 중장기 약세 전망에 따라 ‘25년까지 적자 국면이 지속할 것으로 추정. 최근 글로벌 산업 컨설팅 기관들은 적어도 ‘25년까지 아시아 Olefin 시황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Spec Capacity 가정을 하지 않을 경우 S&P Global의 경우 ‘28년까지 장기 바닥 국면을 제시하는 등 동사의 주요 제품군이 속한 Olefin 업황 전망은 장기 불황에 가깝다고 분석. ▷투자의견 : Marketperform[유지], 목표주가 : 141,000원 -> 102,000원[하향] | |
한창 (005110) 296원 (-27.80%) | 반기보고서 미제출에 따른 관리종목 지정에 급락 |
▷지난 14일 장 마감 후 2023년도 반기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 지정 공시. 한편, 반기보고서 미제출로 16일 거래정지됐던 동사는 금일 거래재개. | |
LS전선아시아 (229640) 12,030원 (-29.98%) | 초전도체 개발 사실 부인 속 52.52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등에 하한가 |
▷전일 풍문 또는 보도(초전도체주, 'LK-99'진위 공방에도 급등세 지속)에 대한 해명으로 초전도체케이블과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거나 초전도체 개발에 대한 사실이 없다고 밝힘. ▷아울러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397,303주(52.52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3-08-17~2023-08-25) 공시.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1.01 09:00
한창 | 0 | 0 | 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유튜브 20년] 19초 영상서 기업가치 800조원 미디어로…독과점 그늘도
-
2
한양증권 매각 절차 '올스톱'…KCGI와 협상기한 연장 관측 '솔솔'
-
3
5월 황금연휴 해외여행 '쑥'…내수위축에 소상공인은 '울상'
-
4
올해 25년째 열리는 울산옹기축제 대표 캐릭터 '옹이' 탄생
-
5
BK21 참여 외국인 대학원생 중 '한국 살고 싶다' 27% 그쳐
-
6
경기도 '프리랜서 강사 표준계약서' 인기…조회수 7만회 넘겨
-
7
서울 버스노조 내일 쟁의행위 찬반투표…2년 연속 파업 가나
-
8
中 '제조강국' 도약 선언 10년…전기차·로봇·AI '세계 선도'
-
9
[액시세대 활력 보고서] 격일 경비하며 삶 즐기는 김효엽 씨
-
10
지반탐사 예산 23억 늘린다지만…"깊은 싱크홀엔 뾰족한 수 없다"